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셉티미우스 안티오쿠스

덤프버전 :

 
[ 펼치기 · 접기 ]

||<tablewidth=100%><tablealign=center><rowbgcolor=#FFD860,#6F5300><width=25%> 초대 ||<width=25%> 임시 ||<width=25%> 제2대 ||<#FFD860,#6F5300><width=25%> 제3대 ||
||<tablebgcolor=#FFEFA5,#000> 오다에나투스 ||<|2> 마에오니우스 || 바발라투스 ||<|2> 안티오쿠스 ||
|| 하이란 1세 || 제노비아 ||



이름셉티미우스 안티오쿠스
(라틴어: Septimius Antiochus)
출생미상
사망273년 이후

1. 개요
2. 행적



1. 개요[편집]


제노비아의 친척으로 알려져 있다.[1] 로마 황제 아우렐리아누스가 제노비아와 바발라투스를 로마로 끌고 간 틈을 타 팔미라 제국의 부흥을 꾀했으나 273년 팔미라로 돌아온 아우렐리아누스에게 제압당했다.


2. 행적[편집]


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》에 따르면, 아우렐리아누스팔미라 제국을 무너뜨린 뒤 600명의 궁수로 구성된 수비대를 산다리우스의 지휘하에 남겨둔 뒤 제노비아바발라투스 모자를 대동한 채 로마로 돌아갔다. 그러나 팔미라의 현지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산다리우스와 600명의 로마군 수비대를 몰살시킨 뒤 메소포타미아 총독 마르켈리누스를 황제로 옹립하려고 했다. 그러나 마르켈리누스가 이에 응하는 척하면서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에게 반란 소식을 알리자, 그들은 안티오쿠스를 팔미라 제국의 황제로 옹립했다.

273년 봄 팔미라에 달려온 아우렐리아누스는 단숨에 함락시킨 뒤 도시를 3일간 약탈하는 걸 허용했다. 이때부터 동방에서 번영하는 도시였던 팔미라는 쇠퇴했고, 나중엔 촌락으로 전락했다. 하지만 안티오쿠스는 살아남았다고 하며,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03 22:17:31에 나무위키 셉티미우스 안티오쿠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제노비아와의 관계는 불확실하다. 제노비아가 남편인 오다에나투스 사후 다른 남자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로 추정 중이며, 이 경우 황제로 옹립되었을 때 매우 어렸을 것이다.